몇 날을 씨름하다가 다된듯 하여 가슴 놓았는데 다시 나락으로 떨어진듯한 하루입니다.

중국에 와서 불확실성에 대해서 옆에서만 보다가 정말 뼈저리게 실감하고 있습니다.

본인들도 내린 결정을 채 하루가 지나지 않아 번복하면서 그 이유를 모르겠다고 합니다.

이유를 모르지는 않겠지만 설명이 궁색한 탓이겠지요  

 

큰 일을 마치고 나면 갑자기 무언가를 잃은듯 정신줄을 놓은 것 처럼

사람이 맥이 풀리면서 없던 몸살을 앓게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런 때 어울리는 시가 아닐까 합니다. .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져 있는 제게 많은 이들의 마지막 인사는 늘 같습니다. 

"건강하세요. 건강해야 돼. 몸 건강히 있다 , 그리고 건강하게 다시보자"  등등 '건강염려'가 대부분이죠

 

이제 제가 받았던 이 말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내 스스로에 대한 위로 같지만

내가 내 주위 사람들과 멀리 있는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히 전하고 싶은 말이기도 합니다.

 

              <150826>

.--------------------------------------------

 

멀리 있는 사람에게 바램이 있다면 

그것은 건강하게 다시 만나길 바라는 것이라 여깁니다.

 

아주 오래전 보내온 메일이 생각났습니다.

"내 허락없인 아프지도 마"

이에 걸맞는 시가 있습니다.

이 시인의 시를 칠팔년 전에 읽었지만  시인에 대하여 잘은 모릅니다.

 

그래도 앞 대목은 가슴을 저리게 만듭니다.

꽃도 필 때는 아프다고 불어오는 바람에게 말한다고 ...

참 아름다운 시어입니다.

 

그래서 나도 그대로 전해줍니다.

 

"내 허락없인 아프지도 마"

        <130408>

 

----------------------------------

내 허락없인 아프지도 마

 

                      임경희


꽃도 필 때는
아프다고,
불어오는 바람에게 말하잖아

진주 조개는
상처가 쓰라리면
밀려오는 파도에게 하소연 하는데

저녁 노을마저도,
뜨거워 견딜 수 없다고
서산 마루에 안기던 걸

하물며
사랑하는 당신이 아프려면
나에게 먼저 물어 보고 아파야지
그래야
아픈 상처,
바람에게
호호 불어 달라 부탁을 하지
쓰라린 가슴,
비에게 일러 어루만지라 얘기를 하지

정말이야
이제,
내 허락없인 아프지도 마

Posted by 한글사랑(다향)

어려운 경영환경에 놓일수록 대부분 새로운 일에 대한 욕심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야 일을 하는 것 처럼 보이기도 하고

무언가 달라지고 있다고 스스로의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오늘 아침에 이 글을 읽고서 다시 한 번  많은 것들을 생각해 보게 합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일과 전에 적은 오늘의 회의 일정을 제외한 To do list 를 보니

제 노트에 적힌 것은 오늘 할 일  대부분은 무엇인가를 없애는 것 보다는

새로이 만들어 내고 또는 바꾸는 일이 대부분 이었습니다.

 

조직에서 당연히 해야 하는 일 이외의 것을 살펴보면

대부분 없애는 것 보다는 새로운 일을 만들어내는 일이 많은 것입니다.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ㅎㅎㅎㅎ)

 

매일 쓸모없는 것, 서로가 고민하는 고질적인 일

하나씩만 버리고 없애는 일을 한다면 ....

 

그래서 법정 스님은 늘 버리라고 말씀하셨던 것 같습니다.

제게도 직접 그 말씀을 하셨으니... 

 

본인도 가벼워지고

결국은 서로가 즐거워지는 생활이 될 듯 합니다.

 

-----------------------------------------------< 전하는 글>------------------------------------

마이너스의 지혜

 

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몽골제국의 황제 칭기즈칸이 죽고 그의 셋째 아들 오고타이가

제국의 2대왕 태종이 되었습니다.

고타이는 정치고문이자 제국공신인 야율초재를 불러 자문을 구하였습니다.


“아버지는 대제국을 이루셨소. 나는 아버지를 뛰어넘는 업적을 세우고 싶소.

이 제국을 개혁할 좋은 방책이 있소?”
직언을 서슴지 않던 뛰어난 지략가 야율초재는 이렇게 대답하였답니다.

“흥일리불약제일해(興一利不若除一害), 생일사불약멸일사(生一事不若滅一事) :

하나의 이익을 얻는 것이 하나의 해를 제거함만 못하고,

하나의 일을 만드는 것이 하나의 일을 없애는 것만 못하다.”

한 가지 좋은 일을 시작하는 것이 한 가지 나쁜 일을 제거함만 못하다는 충언을 한 것입니다.

당시 몽골제국을 이룩한 데에는 무참한 살육과 전쟁, 공포법령 등이 바탕이 되었는데

여기에 또 하나의 새로운 강력한 힘을 더하려했던 오고타이와는 달리

야율초재는 악법을 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백성의 고통을 이해하고 나라의 장래를 위한 야율초재의 마이너스의 지혜가 발휘된 순간이었습니다.

변화, 혁신, 발전을 위해 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더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좋은 것을 시작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계속되어오던 나쁜 것을 끊지 않는다면 개혁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플러스(+)의 사고가 필요할 때가 있고, 마이너스(-)의 사고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만,

지도자는 새로운 정책의 개발에 앞서 국민의 고통을 해결해주는 혜안을 갖추어야 합니다.


조직의 리더도 혁신의 방법을 강구하기에 앞서 조직의 고질적인 문제 하나를 해결한다면

보다 수월하게 큰 걸음을 뗄 것입니다.

가까운 사람, 소중한 사람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말로 상대를 귀하게 여기고 고마움을 느낀다면 그 사람을 위해서

무엇을 선물할까 생각하기보다 그 사람이 싫어하는

나의 단점 하나를 고치려 하는 노력이 더 큰 선물이 될 것입니다

Posted by 한글사랑(다향)

블로그 이미지
저의 일상을 통해 사람사는 이야기와 함께, 항암 관련 투병기록 및 관련 정보 공유를 통해 치유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한글사랑(다향)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