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일이다.

요즘 천진의 바람은 세차다.

바람의 등급을 1~10 등급이 있으며 등급 수가 클수록 바람이 세차다.

지난 토요일은 바람이 8급 수준이어서 부두가 폐쇄되고

바람에 대한 경보가 발령되었다.

산에 갔을 때에도 바람이 세차 동행중 몇명은 뒬 날아가는 듯 보였다.

 

지난 주에 퇵는 길에 운전원에게 말을 걸엇다.

요즘은 한두마디 말을 건네는 편이다.

조금 있으면 세마디로... 그리곤  점점 더 늘어가기를 기대한다.

 

차를 타면서 바람이 세차다는 말로

" (da Feng) " 이라고 말했더니

그런데 내게 되묻는 것이었다.

"大風打电话 (geidafeng dadianhua)

직원중에 이름이  다펑(風)이란 이름이 있었던 것이다.

 

"아니다"고 대답을 하면서 "大 (Fengda)라고말을 하니 고개를 끄덕인다.

그리곤 둘이 한참을 웃엇다.

 

오늘 중국어 수업이 날씨에 대한  내용으로 바람의  급수 얘기가 나와서

과외 선생에게 윗 이야기를  에피소드로 말 했더니

한국사람들 95%가 이렇게 말한다고 한다.

언어의 습관이란다.

 

한국인 : 큰 바람이 불다 ------ (daFeng) 

중국인 : 바람이 크다  ............大 (Fengda)

 

설명이 좀 부족하기는 하지만 어찌 되었든 그런다.

 

이어지는 어린아이를 가르치면서 얘기 한대목

 

妈妈比我胖(mama bi  wo panger(어마마는 나에 비해서 뚱뚱한 사람이다)

무슨 말인지 몰라 적어보라고 하니 뚱뚱한 사람이라는 의미로 pang + er 을 붙였단다.

(아마 아이가 국제학교 다니면서 명사 +er 하면 ~~하는 사람이 되어서 중국어 pang 에 er 을 붙혔단다.

어린 아이다운 발상, 응용력이다.

 

아뭏튼 중국어는 한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영어보다는 좀 쉬운 편이다.

히지만 외국어 이고 문화적 관습과 단어의 의미와 어순은 조금씩 다르다.

 

Posted by 한글사랑(다향)

나무를 위하여

 

                                     (신경림, 1936~ ) 


 


어둠이 오는 것이 왜 두렵지 않으리
불어닥치는 비바람이 왜 무섭지 않으리
잎들 더러 썩고 떨어지는 어둠 속에서
가지들 휘고 꺾이는 비바람 속에서
보인다 꼭 잡은 너희들 작은 손들이
손을 타고 흐르는 숨죽인 흐느낌이
어둠과 비바람까지도 삭여서 
더 단단히 뿌리와 몸통을 키운다면
너희 왜 모르랴 밝는 날 어깨와 가슴에
더 많은 꽃과 열매를 달게 되리라는 걸
산바람 바닷바람보다도 짓궂은 이웃들의
비웃음과 발길질이 더 아프고 서러워
산비알과 바위너설에서 목 움츠린 나무들아
다시 고개 들고 절로 터져나올 잎과 꽃으로
숲과 들판에 떼지어 설 나무들아 

  


신경림
1936년 4월 6일 충북 충주 출생. 동국대 영문과 졸업,
1955년 『문학예술』에 「갈대」, 「묘비」 등이 추천되어 등단.
신경림의 등단 작품인 「갈대」, 「묘비」 등은 농민을 대상으로 하되,
이를 뛰어넘어 인간 삶의 보편적인 쓸쓸함과 고적함을 주된 분위기로 하고 있는데.

첫 시집인 『농무』 이후 신경림의 시는 농민의 삶의 현장을 그린 시로 농민의 고달픔을 다루면서도

항상 따뜻하고 잔잔한 감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서정적이면서도 감동을 준다.

그의 시는 여타의 노동시에 비해 강력한 울분이나 격렬한 항의, 개혁의 의지 등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으로 이러한 특징은 신경림 시의 장점이자 한계일 수도 있지만

 그의 시를 사랑하는 독자를 확보하는 가장 큰 요인이기도 하다. 

『새재』 이후에 쓰여진 『민요기행』, 『남한강』, 『길』 등의 시집은 우리 것에 대한
시인의 애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우리 민요와 지리 등을 소재로 하면서 우리의 일상 속에
살아 숨쉬는 우리 문화와 역사를 노래하고 있다.

 

나의 생각
대학 시절 김수영, 신경림, 이성부는 내게 시에 대한 생각들을 바꾸게 해 주는 마력을 지닌 시인들이었다. 지금도 변함없이 좋아하는 김현승 시인과는 전혀 다른 그러면서 웬지 모를 아픔과 함께 나를 사로잡았다. 신경림 시인은 이 시에서 우리의 삶을 나무에 빗대어 이야기하고 있다.

'어둠', '비바람'과 같은 고난과 시련은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렇지도 않은 듯 보이는 나무도 속으로 두려움에 떨고 있음에우리네 삶 자체도 이와 같다,. 겉으로는 웃고 아무렇지 않게 보이지만 안으로 좀더 들여다 보면 개인적으로 고민과 두려움과 시련이 잇듯이.. 단지 표현하지 않은 것 처럼 그렇게,,,

그러나  두려움과 고난에 떠는 나무들이 손을 잡고 서로 의지하고 있음을 발견하해 내고 그 고난과 시련의 과정이 곧 꽃과 열매를 달기 위한 전 과정임을 꽃 자신도 이미 알고 있다는 사실을 전한다.

이는 곧 나무가 고난과 시련을 견딤으로써 내적으로 성숙하고 결실을 얻을 수 있는 우리 삶에 대한 확신을 드러낸 것이다.

 

요즘 나의 길디 긴 슬럼프 역시 이런 것이라 확신한다.

 

                           <120727>



출처  : 차향이 우러나는 향기로움으로...  |  글쓴이 : 다향 한글사랑 원글보기  
Posted by 한글사랑(다향)

블로그 이미지
저의 일상을 통해 사람사는 이야기와 함께, 항암 관련 투병기록 및 관련 정보 공유를 통해 치유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한글사랑(다향)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