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중국어 HSK 단어를 다시 공부하면서발음과 성조가 틀렸다는 것을 많이 느낍니다.  특히 한국인에게 어려운 발음을..(역시 인터넷에서)

 

발음과 성조


1. 발음


   ⑴ 중국어의 음운 : 성모와 운모

      중국어의 음은 包 baō, 后 hòu, 得 dé 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들 가운데 ‘b, h, d’등 자음을 성모, ‘ao, ou, e’ 등 모음을 운모라고 한다.


   ⑵ 성모와 그 발음

      중국어에는 모두 24개의 성모가 있으며, 이것을 한어 병음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으며 알파벳의 순서와 발음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① 발음 기호에 의한 분류

       

b

p

m

f

(v)

d

t

n

l

g

k

(ng)

h

j

q

(gn)

x

zh

ch

sh

r

z

c

s

      ② 발음 체계에 의한 분류

         ◇ 쌍순음 (상하의 입술에 의한 음)

            → b, p, m

         ◇ 순치음 (앞쪽 윗니와 아랫입술에 의한 음)

            → f, (v)

         ◇ 설첨음 (혀끝으로 내는 음)

            → d, t, n, l

        ◇ 설근음 (혀뿌리와 경구개에 의한 음)

            → g, k, (ng), h

         ◇ 설면음 (혀 앞쪽과 경구개의 의한 음)

            → j, q, (gn), x

         ◇ 권설음 (말아 올린 혀끝과 경구개에 의한 음) → zh, ch, sh, r

         ◇ 설치음 (혀끝과 앞니에 의한 음)

            → z, c, s


   ⑶ 운모의 종류

      운모가 모두 38개이며, 이것을 한어 병음식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또한 이들의 운모는 단독 또는 성모와 결합되어 중국어의 음절을 이룬다.

      ① 단운모 : i(yi), u(wu), u, ǜ(yu), a, o, e, è

         → (7종)

      ② 복운모 : ai, ei, ao, ou

         → (4종)

      ③ 부성운모 : an, en, ang, eng

         → (4종)

      ④ 성화운모 : er

         → (1종)

      ⑤ 결합운모(i류) : ia(ya), io(yo), ie(ye), iai(yai), iao(yao), iu(you), ian(yan), in(yin), iang(yang), ing(ying)

         → (10종)

      ⑥ 결합음모(u류) : ua(wa), uo(wo), uai(wai), ui(wei), uan(wan), un(wen), uang(wang), ong(weng)

         → (8종)

      ⑦ 결합음모(ǜ류) : ue․ǜe(yue), uan․ǜan(yuan), un․ǜn(yun), iong(yong)

         → (4종)


2. 발음 요령

 

   ⑴ 성모의 발음

      ① 쌍순음 (双唇音) : b, p, m

         ◇ b : 두 입술을 부드럽게 다물었다가 갑자기 떼면서 공기가 두 입술 사이로 터져 나가게 하며,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p : 발음 부위는 ‘b’와 같으나, 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산 파열시켜 내보낸다.

         ◇ m : 두 입술을 다물고 공기를 콧속으로 빠져  나가게 하며, 성대를 울린다.

      ② 순치음 (唇齿音) : f, (v)

         ◇ f : 윗니를 아랫입술에 부드럽게 맞댄 다음, 공기를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로 마찰시켜 내되, 성대를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v’는 ‘f’와 같이 발음하며, 비음을 조금 섞여 내는 유성음이다.

      ③ 설첨음 (舌尖音) : d, t, n, l

         ◇ d : 는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입김이 약하게 내며 발음하며, 무성음이다.

         ◇ t : 발음 부위는 ‘d’와 같으나, 공기를  파열시켜야 하며,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n :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공기를 콧속을 통해 내보내며, 유성음이다.

         ◇ l : 혀끝을 윗잇몸에 대었다가, 공기를 혀 양쪽으로 내며, 성대를 울린다.

         [ 참고 ]

         ․자음 ‘b, p, m, f’ 뒤에 모음 ‘o’가 올 경우, 실제적인 음은 ‘bwo, pwo, mwo, fwo’ 이다. 특히 중간에 과도적인 음 ‘w’가 있다는 점에 주의하여 발음한다.

      ④ 설근음 (舌根音) : g, k, (ng), h

         ◇ g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게 하여, 입김을 약하게 내는 소리

         ◇ k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며, 입김이 강하게 내는 소리다.

         ◇ ng : 소리가 콧구멍으로 나오고, 그 음이 ‘m’과 비슷하다.

         ◇ h : 혀뿌리와 연구개가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마찰음이다. 이 ‘h’소리는 우리의 “ㅎ” 소리와는 같지 않음에 주의한다.  우리말의 “ㅎ"는 목구멍소리이며, 혀뿌리를 긴장시키지 않고, 목구멍에서만 내는 소리이나, 한어에서 ‘h’ 발음은 혀뿌리를 위로 올리며 입김을 배로부터 끌어내듯 발음한다. 그 과정이 ‘k’ 와 비슷하다.

      ⑤ 설면음 (舌面音) : j, q, (gn), x

         ◇ j : 설면의 앞 부분을 경구개에 붙이고 혀끝을 아랫니 안쪽에 부드럽게 접근시키면서 공기를 설면의 앞 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마찰시켜 나가야 한다.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q : 발음 부위는 ‘j’와 같으나 공기를 좀더 파열시켜 내보낸다.

         ◇ x : 설면의 앞 부분을 경구개 가까이 접근시켜, 공기를 설면의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로 마찰시켜 내보낸다. 성대는 울리지 않는다.

         [ 참고 ]

         ․자음 ‘j, q ,x’ 뒤에 모음 ‘u’ 가 올 경우에 표기는 ‘ju, qu, xu’로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⑥ 권설음 (卷舌音) : zh, ch, sh, r

         ◇ zh : 혀끝을 말아 올려 경구개에 붙였다가 순식간에 떼며 내는 소리. 이때 입김을 약하게 낸다. 무성음

         ◇ ch : 혀끝을 말아 올려 경구개에 닿을락말락하여 내는 소리. 이때 입김을 강하게 낸다.

         ◇ sh : 혀끝을 말아 올려 혀끝이 뒤쪽 잇몸에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소리며, 무성음이다.

         ◇ r : 혀끝이 위로 당겨 올려 경구개에 닿을락말락하여 나는 소리. ‘sh’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음되지만 유성음이다.

      ⑦ 설치음 (舌齿音) : z, c, s

         ◇ z : 혀끝을 윗니 안쪽에 가볍게 대었다 순간적으로 떼며, 그 사이로 공기를 마찰시켜 내보낸다. 무성음이다.

         ◇ c : 발음 부위는 ‘z’와 같으나, 공기를 파열시켜 낸다.

         ◇ s : 혀끝을 아랫니 안쪽에 가만히 대고 공기를 설면과 윗니 안쪽 틈새로 마찰시켜 내며, 무성음이다.

      ⑧ 우리말로 표기할 수 없는 음

         우리 글로써 대부분의 한어의 음을 거의 완전히 옮겨 표기할 수 있지만, 그 중 비슷하게는 표시할 수 있어도 정확히 표기할 수 없는 음이 몇 가지 있다.

         ◇ 순치음 : f(v)

         ◇ 권설음 : zh, ch, sh, r

         ◇ 설치음 : z, c

         [ 참고 ]

         ․자음 ‘z, c, s’ 이나, ‘zh, ch, sh, r’ 등의 자음 뒤에 모음 ‘i’ 가 올 때는 ‘z, c, s, zh, ch, sh, r’등의 연속음으로 발음하며, 단독으로 발음되지 않는다. ‘으’소리와 비슷하다.


   ⑵ 운모의 발음

      ① 단운모

         ◇ i : 혀의 앞쪽을 올려서 경구개에 가까이 한다. 턱을 위로 올려 입을 좁히고, 입김은 혀의 앞쪽과 경구개 사이로 흘려내며 마찰시키지 않는다. 우리말의 ‘ㅣ’와 유사한 음이다.

         ◇ u : 혀뿌리가 연구개와 가깝도록 올리며, 동시에 턱을 올려 두 입술을 오므린다. 입김은 혀뿌리와 연구개 사이로 자유로이 흘러내고 조금도 막지 않는다. 우리말의 ‘ㅜ’ 발음과 유사하나 다소 차이가 있다.

         ◇ ǜ : 입안의 움직임은 ‘i’와 같이 하고, 입술을 동그랗게 한다. 우리말로는 ‘ㅠ’와 ‘ㅣ’를 동시에 내는 것과 같다.

         ◇ a : 혀뿌리를 내리고, 턱을 크게 벌린다. 우리말의 ‘ㅏ’보다는 더 뒤에서 내는 소리다.

         ◇ o : 혀뿌리를 조금 올리지만, 연구개와의 거리는 멀리한다. 우리말의 ‘ㅗ’와 ‘ㅓ’의 중간음이다.

         ◇ e : 입과 입안의 모양은 ○와 같으나, 입술을 넓직히 발음한다. 우리말의 ‘ㅡ’와 ‘ㅓ’의 중간음이다.

         ◇ e :혀를 조금 올리지만 경구개와의 거리를 둔다. 반쯤 오르는 정도. 턱은 ‘ㅣ’음 때와 같이 좁히지 않고, 입김을 내어 보낸다.  우리말의 ‘ㅔ’와 약간 비슷하다.

      ② 복음모

         위의 단모음들이, 같은 위치에서 빠른 시간에 다른 위치로 옮아가게 되면 복모음이 된다. 중국어에 있어서는 ‘I, u, ǜ’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되는 결함 모음 이외에 주음 부호로써 한 글자로 표시되는 복모음은 네 가지이다.

         ◇ ai : 혀를 앞에서 움직이고, 혀의 움직임은 먼저 ‘ㅏ’에서 시작되어, 곧이어 위로 올라 ‘ㅣ’로 향한다.

         ◇ ei : 혀의 움직임이 가운데에서 조금 앞으로 치우친 반승 상태에서 ‘ㅔ’로 시작되어 곧 이어 위로 오르며 ‘ㅣ’로 향한다.

         ◇ ao : 혀의 움직임이 모두 뒤에서 생긴다. 혀의 움직임이 먼저 ‘ㅏ’에서 시작되며, 곧 이어 위로 오르며 ‘ㅗ’로 향한다.

         ◇ ou : 먼저 혀의 움직임이 가운데에서 조금 뒤로 치우친 반승의 상태에서 ‘ㅓ’로 시작되어 곧 이어 뒤로 오르며 ‘ㅗ’로 향한다.

      ③ 부성음모

         자음이 붙은 성모는 ‘an, en, ang, eng’의 넷이다.

      ④ 성화음모

         ◇ er : 성모로 쓰일 때는 순수 모음은 아니다. 혀끝을 약간 위로 말되 경구개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어미로 쓰는 ‘儿’의 발음은 단지 앞의 음에 가볍게 붙어 버리고, 음절을 이루지 못하므로, 이 따위는 자음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⑤ 유기음, 무기음

         유기음과 무기음이 차이는 발음 시에 입 밖으로 숨이 나오느냐, 나오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유기음은 거센 숨소리와 함께 나는 소리로, 숨을 들이마셨다가 그 숨을 순간적으로 ‘탁!’ 터뜨리면서 발음한다. 우리말 자음의 ‘ㅋ, ㅌ, ㅍ, ㅎ’ 발음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목소리보다는 숨소리로 이야기하는 느낌을 받는데, 그것이 바로 유기음이다.

 

성조

 

중국어가 마치 노래를 부르는 것처럼 멋있고 즐겁게 들리는 이유를 아십니까? 그것은 성조라는 것이 있어서 입니다. 성조란 각 음의 고(高)·저(低)·승(升)·강(降)을 가리키는 성분으로, 자음이나 모음과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한 음절을 이루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입니다. 설령 글자나 발음이 같더라도 성조가 다르면 그 음절의 뜻은 달라지죠. 성조에는 기본적으로 제1성, 제2성, 제3성, 제4성이 있으며, 각각 ―,/, ∨,\로 표시합니다. 이 네 개의 성조 외에도 짧고 가볍게 읽어주는 경성(輕聲)이 있는데, 경성은 아무런 부호 표시도 하지 않습니다.
 

·제1성→

약간 높아서 지속적으로 음을 내주기가 불편한 상태라야 정확한 높이입니다. 우리 한국어 하듯이 편하게 발음이 난다면 그것은 실제 음보다 약간 낮은 상태일 것입니다.

 

·제2성→

3도부터 음이 시작된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십시오. 그리고 중간이 꺽이거나 아래로 휘어짐 없이 음이 순식간에 5도까지 올라갑니다.

 

·제3성→

처음에 음에 높이를 주지 마십시오. 어떤 학습자들은 2도에서 1도로 떨어진다는 것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처음에 음 높이를 터무니없이 높게 잡아 정확하지 않은 음을 내기도 합니다. 그냥 편안하게 음을 툭 떨어뜨려 준다는 기분으로 시작하십시요. 1도까지 내려간 상태는 가슴 저 밑바닥까지 음이 내려갔다는 기분이 들어야 합니다.

 

·제4성→

5도에서 1도까지 대각선으로 떨어지는 음입니다. 직선으로 떨어뜨리지 않도록 조심해야합니다. 그리고 처음 시작 할 때만 너무 음에 힘을 주고 나중에 힘을 빼버리면 듣기 이상한 발음이 됩니다. 처음에도 너무 힘은 주지말고 음이 끝나는 순간까지 힘을 고르게 주세요.

 

 


 

품사


1. 대사(대명사)

   사람이나 처소, 사물의 이름을 대신하여 나타내는 말로써, 명사나 수사와 함께 문장에서 체언 구실을 하며, 인칭 대명사․지시 대명사로 나누어진다.


   ⑴ 인칭 대사 : 사람을 이름대신 가리키는 대명사

      ꃚ 我,你,他,她,谁 등


   ⑵ 지시 대사 : 대명사의 한 갈래로, 사람 이외의 사물이나 처소를 가리키는 데 쓰이는 대명사

      ꃚ 这,那,这里,那里 등


   ⑶ 의문 대사 : 모르는 사람이나 확실치 않은 사실을 지칭하는 대명사

      ꃚ 谁,什么,为什么,哪 등


2. 동사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말로서, 문장의 주체가 되는 말의 서술어가 되는 용언의 한 가지


   ⑴ 동사의 기능상 분류

      ① 본동사         ② 보조 동사


   ⑵ 동사의 형태상 분류

      ① 규칙동사          ② 불규칙 동사         ③ 불완전 동사


   ⑶ 동작의 영향에 따라

      ① 자동사        ② 타동사


   ⑷ 움직임의 성질에 따라

      ① 주동사        ② 사동사        ③ 능동사        ④ 피동사


3. 명사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로써, 대명사․수사와 함께 문장에서 체언의 구실을 함. 우리말의 경우, 조사의 도움으로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쓰임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자립성의 있고 없음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뉜다.


   ⑴ 고유 명사 : 어떤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

      ꃚ 금강산, 서울, 김유신 등


   ⑵ 추상 명사 : 보통 명사의 한 갈래.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ꃚ 기쁨, 슬픔, 정의, 평화 등


   ⑶ 물질 명사 : 형상을 갖춘 것을 나타내는 명사 (↔ 추상 명사)

      ꃚ 물, 불, 공기 등


4. 형용사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또는 존재를 나타내는 말로써, 용언의 한 가지로서 문장의 주체가 되는 말의 서술어가 된다.


5. 부사

   주로 용언 앞에 쓰이어, 그 용언의 뜻을 분명히 한정하는 말. 문장에서 수식어 구실을 하는데, 쓰임에 따라 성분 부사(성상, 의태, 의성, 지시, 부정, 정도 부사) 문장 부사, 접속 부사로 나뉜다.

   ꃚ ‘잘 달리다’, ‘매우 차다’, ‘데굴데굴 구르다.’ 에서의 ‘잘’, ‘매우’, ‘데굴데굴’ 등


6. 개사(전치사)

   문법에서의 품사의 한 가지로, 명사나 대사 앞에 놓여 다른 품사와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말. 시간, 장소, 위치, 목적, 원인, 방식, 대상, 비교 등을 지칭하는 단어이며, 개사가 명사나 대사와 함께 이루고 있는 구조를 개사구조라고 한다.

   ꃚ 在. 从. 又. 由. 往. 向. 给. 和. 跟 등


7. 연사(접속사)

   문장 가운데의 두 성분 또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말

   ꃚ 跟,和,与,而且,但是,因为,如果 등


8. 조동사(보조 동사)

   홀로는 문장의 주체를 서술할 힘이 없어 본용언(본동사와 본형용사) 아래에서 그 뜻을 돕는 동사.

   ① 조동사      ② 능원동사

Posted by 한글사랑(다향)

블로그 이미지
저의 일상을 통해 사람사는 이야기와 함께, 항암 관련 투병기록 및 관련 정보 공유를 통해 치유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한글사랑(다향)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